지금까지는 기본적 분석에 필요한 투자지표들과 참고하면 좋은 보조지표에 대해서 공부해 봤었다. 이번에는 기술적 분석의 수많은 이론들과 기법들 중 엘리엇 파동 이론에 대해서 포스팅해 보려고 한다. 엘리엇 파동 이론을 믿고 사용하는 많은 투자자들은 한 치 앞을 알 수 없는 주식시장에서의 나침반 같다고 표현한다. 한국에서는 엘리엇 파동 이론에 관해서 1인자라고 불리는 김중근 선생님의 <엘리어트 파동 이론> 책이 수많은 엘리엇 파동 이론과 관련된 책들 중 가장 좋은 책이라고 많이 추천들 했다. 그래서 책에 나오는 이론, 법칙, 예외 들과 파동의 특징에 대해서 설명하고자 한다.
엘리어트 파동 이론의 핵심은 상승과 하락을 반복하는 차트가 파동의 형태를 띠고 그 각각의 모든 파동은 5파 상승 이후 3파 하락의 형태로 이루어졌다고 설명한다.
★엘리어트 파동 이론의 절대 불가침의 법칙
1. 2번 파동은 절대로 1번 파동의 출발점 이하로 내려가서는 안 된다.
2. 3번 파동은 절대로 가장 짧은 파동이어서는 안된다.
3. 4번 파동은 절대로 1번 파동과 겹칠 수 없다. (4번 파동의 저점이 1번 파동의 고점 아래로 내려가면 안 된다.)
이 이론을 공부한 많은 사람들이 3가지의 절대 불가침의 법칙에 대해서는 알고 있지만 흔히 하는 실수가 있다. 만약 본인이 파동분석을 했는데 4번 파동이 1번 파동의 최고점을 뚫고 하락할 경우에는 첫 번째로 파동의 자리매김을 다시 한번 확인해야 한다. 이때 대부분의 개인투자자들은 자신의 파동의 자리매김이 틀렸다고 생각하지 않고 예외가 있다고 생각하거나 엘리엇 이론이 잘못되었다고 판단하지만, 절대 불가침의 법칙은 예외를 인정하지 않기 때문에 엘리엇의 법칙이 틀렸다고 판단하면 안 된다. 두 번째로는 파동의 자리매김을 다시 확인했지만 잘못된 것이 없다면, 파동이 연장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파동의 연장은 자주 나타는 것 까진 아니지만 종종 나타나기 때문에 확인해 봐야 한다. 세 번째는 파동의 연장이라고 분석하려면 2번 파동의 최저점은 지지해야 한다. 파동의 연장이라고 해도 절대 불가침의 법칙을 어길 수는 없기 때문이다.
★엘리어트 파동 준칙(guideline)
1. 4번 파동의 법칙
•4번 파동은 3-4번 파동과 일치하는 경향을 보인다.
4번 파동의 저점은=3-4번 파동의 저점이고 3번 파동의 38.2%를 되돌림 한다.
2. 파동 변화의 법칙
•2번 파동의 형태는 4번 파동의 형태와 같지 않다.
ex) 지그재그, 플랫, 삼각형, 단순한 형태, 복잡한 형태
•충격파동의 경우 파동이 연장될 때 파동변화의 법칙이 잘 적용된다.
충격파동 중 연장파동은 단 1개의 파동만 가능하고 조정파동은 절대 연장되지 않는다.
3. 파동 균등의 법칙
•1번 파동, 3번 파동, 5번 파동 중에서 두 개의 파동은 서로 균등하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는 법칙
•서로 형성되는 기간이나 움직임의 거리에서 비슷하게 나타난다.
특히 3번 파동이 연장될 경우 5번 파동의 최고점을 예측하는 데 사용된다
5번 파동의 상승폭 = 1번 파동의 상승폭 or 1번 파동의 상승폭의 61.8%
위의 4가지 법칙들의 제목을 엘리어트 파동 "준칙" 이라고 했다. 그 이유는 엘리어트 파동 이론의 절대 불가침의 법칙과는 다르게 위의 4가지 준칙들은 예외가 있기 때문이다. 엘리어트가 위의 4가지 준칙들을 추가로 설명한 이유는 주식시장에서 일어나는 파동들의 현상들을 분석하면서 자주 나타나지만 항상 맞는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그래서 위의 4가지 준칙들을 위반하는 파동이 나타났다고 해서 엘리어트 파동 이론이 틀렸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없기를 바란다. 주식시장에서 일어나느 수많은 현상들을 설명하기 위해 정리한 준칙들이기 때문이다.
엘리어트 파동 준칙을 잘 활용하기 위한 방법은 항상 이론을 적용할 때는 예외를 먼저 생각하고 적용하는 것이 아니라 보편적인 것부터 먼저 생각하면서 틀렸다면 예외를 찾아야 한다. 그렇기에 보편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이 위의 준칙들을 먼저 생각하면 단순히 3가지의 절대 불가침의 법칙만 가지고 파동을 분석할 때보다 편하게 접근할 수 있다.
★상승파동일 때 충격파동의 특징
1번 파동의 특징
•1 번 파동은 추세의 전환점이다
•길이도 짧고 , 움직임도 그리 강력하지 않다
•무조건 5 개의 파동으로 세분될 수 있어야 한다 .
•C파동이 완성될 무렵에는 시장이 과다하게 약세이므로 1번 파동을 파악하는 것이 주가 하락에 따른 반등인 것인지 상승으로의 추세 전환인지 파악하는 것이 쉽지 않다.
ex) RSI는 30 이하, 스토캐스틱 K와 D 또한 15 이하이다.
이때 A 파동의 바닥과 C파동의 바닥을 연결한 선은 하락이지만, RSI는 상승하는 괴리현상(divergence)이 나타는 것이 1번 파동의 특징이다.
2번 파동이 특징
•1 번 파동의 조정파동으로 되돌림 비율이 100%를 넘으면 안 된다..
•반드시 3 개의 파동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
3번 파동의 특징
•강력한 상승국면으로 통상 가장 긴 충격 파동이다
•1 번 파동의 최고점을 돌파하는 것으로 확인 가능하다
•주가의 상승 움직임이 활발하고 거래량도 폭등하며 종종 갭도 나타난다
•돌파갭 , 급진갭이 나타나고 소멸 갭은 나타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1 번 파동의 1.618 배의 길이로 형성된다
•5 개의 한 등급 낮은 파동으로 세분할 수 있어야 한다
4번 파동 특징
•주가가 서서히 하락하게 되는 조정국면이다
•3번 파동을만큼 되돌리는 경우가 많다 --
•3-4 번 파동의 최저점과 일치하는 경향이 많다 ㅣ-> 3가지 중 2개 이상이 일치하면 4번 파동이 끝날 가능성이 크다
•종종 2 번 파동의 길이와 같게 형성되기도 한다 --
•2 번 파동과 달리 종종 삼각형의 형태를 띨 때도 많다
•3 개의 작은 파동으로 세분되어야 한다 .
5번 파동 특징
•주가는 한 번 더 강력한 상승세이다
•주가 움직임은3번 파동일 때보단 활발하지 않으며 , 그 길이도 비교적 짧게 나타나는 것이 보통이다
•거래량만으로는 최고조에 달하고 3 파의 거래량을 상회하는 것이 보통이다
•1 번 파동과 같은 길이로 형성되는 경향이 있다 (파동 균등의 법칙)
•5 번 파동의 움직임이 강력하지 못할 때 , 1 번 파동의 길이의 61.8%의 길이로 형성되기도 한다
•1 번 파동에서 3 번 파동까지의 길이의 61.8% 만큼 형성되는 경향이 높다
•5 번 파동이 막바지에 이르면 주가는 계속 상승하지만 거래량은 감소한다 . RSI 는 70이상, 스토캐스틱 K 와 D 는 9090 이상을 나타낸다 . 3 파 최고점과 5 파 최고점을 연결한 선은 상승하지만 그 고점에 해당되는 RSI 를 연결한 선은 하락하는 괴리현상이 발생한다
•삼각 쐐기형(diagonal wedge)을 형성하기도 한다. 5파에만 있는 특징적인 형태로 5-4파가 5-1파와 겹칠 수 있는 절대 불가침의 법칙의 유일한 예외의 경우다. 삼각쐐기형 이우 a파동은 강력한 하락세를 띤다.
'투자 마인드 및 기본지식 > 엘리어트 파동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엘리어트 파동 이론 - 3 (0) | 2021.01.25 |
---|---|
엘리어트 파동 이론 - 2 (0) | 2021.0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