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 마인드 및 기본지식/엘리어트 파동 이론

엘리어트 파동 이론 - 3

idnow 2021. 1. 25. 16:40

엘리어트 파동 이론 관련 글의 마지막 포스팅이 될 것 같다. 앞의 글을 읽고 이해해 이 글을 끝까지 읽고 이해한다면 이 이론을 통해서 주식시장에서 이 이론을 통해서 수익을 낼 수 있을 것이다. 물론 나도 이 이론으로 꽤나 높은 수익을 내고 있다.

이번 글에서는 가장 어려운 조정 파동과 엘리어트 파동 이론을 요약해 보려고 한다.

 

 

 

 

 

조정 파동의 형태

 

1. 지그재그 (5 3 5)

엘리어트 이론의 상식을 벗어나지 않는 유일한 조정 파동이다

b 파동의 상승폭은 최대한으로 잡더라도 a 파동의 61.8%를 되돌림한다

전체적인 a-b-c 파동이 하락의 지그재그 , b 파동은 상승의 지그재그이다

일반적으로 지그재그에서는 a 파동과 c 파동의 길이가 같다

a 파동이 5 개의 파동으로 세분된다면 지그재그라고 봐도 무방하다

b 파동의 형성시간은 a 파동의 형성시간의 61.8%가 일반적이다

c 파동의 형성시간은 a 파동의 형성시간과 같음이 일반적이다

 

 

 

2. 플랫 (3 3 5)

지그재그와 다른점 : 3-3-5 개로 파동으로 세분된다. b파동의 고점이 거의 a파동의 고점 수준까지 상승하고 a파동과 b파동의 길이도 비슷하다. c파동의 저점이 a파동의 바닥과 비슷한 수준에서 결정된다

주로 4 번 파동에서 더 높은 빈도로 발생한다

5 번 파동이 완성된 다음에 형성되는 a-b-c 파동에서는 나타나지 않는다

너무 일찍 하나의 지그재그가 완성되어 버렸다면 , 첫 번째 파동인 a 파동으로 인식하는 것이 타당하다

 

 

플랫의 확장형

c 파동이 의외로 길게 나타나는 경우 : c 파동안의 5 개의 작은 파동이 마무리 되었을 때 , c 파동이라고 생각한 파동의 저점이 a 파동의 저점보다 높을 경우에 5 개의 파동은 c 파동이 아니라 c-1 파동으로 해석해야 하므로 c 파동이 a 파동보다 길게 나타난다

플랫이라도 최소한 c 파동의 저점이 a 파동의 저점보다 낮게 형성되는게 정상적이다

 

 

 

 

3. 불규칙 조정 (3 3 5)

b 파동은 a 파동 길이의 1.382 배 또는 1.236 (0.618+0.618) 로 나타난다

지그재그나 플랫은 2번 파동이나 4번 파동에 주로 나타나지만 불규칙 조정은 주로 5번 파동 이후의 a-b-c 파동에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

c 파동은 지그재그 모양처럼 대폭적인 하락의 모습을 띤다

5 번 파동이 연장된 후에는 반드시 불규칙 조정이 뒤따른다

새로운 고점이 5 번 파동의 고점인지 b 파동의 고점 (irregular top) 인지 확인하려면 b 파동을 세분화했을 때 3 개의 파동이면 b 파동이고 5 개의 파동으로 세분된다면 5 번 파동이다 (5 번 파동은 충격 파동이므로 반드시 5 개의 작은 파동으로 세분된다 )

 

 

 

 

4. 삼각형 (3 3 3 3 5)

반드시 4 번 파동에서만 나타난다

조정파동이지만 5 개의 파동으로 구성된다 (a-b-c-d-e 파동으로 파동을 매기면 된다 )

엘리어트 파동의 절대 불가침의 법칙에 어긋나는 유일한 파동으로 4 번 파동의 저점이 1 번 파동의 고점보다 낮아 4 번 파동과 1 번 파동이 겹친다

삼각형 (triangle) 과 삼각 쐐기형 (diagonal wedge)를 혼동하면 안된다

 

 

 

 

5. 이중 지그재그 ((5 3 5) - 3 (5 3 5) = (a - b - c) - x - (a - b - c))

이중 지그재그를 알아채는 방법 : 2 번 파동이 단순한 형태였다면 4 번 파동은 복잡한 형태일 가능성이 높으므로 염두에 두어야 한다 (파동 변화의 법칙 )

예상했던 시간보다 조정이 짧게 끝났다면 첫 번째 지그재그로 조정파동이 다 끝난 것은 아니라고 생각해 이중 지그재그 형태인지 고려해 봐야 한다

 

 

 

 

6. 이중 플랫과 삼중 플랫

이중 플랫도 이중 지그재그처럼 7 개의 파동으로 세분된다

 

 

 

 

7. 혼합형

이중 지그재그 , 이중 플랫과 삼중 플랫은 모두 단순한 형태로 하나의 형태를 띠는 조정의 형태가 아니라 하나의 조정형태가 두번 결합되어 형성되었다 . 혼합형은 2 가지 이상의 조정형태가 결합해 형성된 것이다 . 예를 들면 지그재그와 플랫의 결합으로 하나의 조정파동을 형성했을 경우를 혼합형이라고 부른다

 

 

 

 

 

 

일반적인 원칙

1. 엘리어트 이론의 절대불가침의 법칙은 반드시 존중되어야 한다

2. 충격파동이 연장될 가능성을 항상 염두에 두어야 한다

3. 갭이 나타났는지 살펴본다

4. 보편적인 것을 먼저 생각한다

 

 

 

 

 

거래량에 따른 기준

5 번 파동의 거래량은 3 번 파동보다 많아서 최고조에 이른다

5 번 파동과 b 파동이 헷갈릴 때 : 주가가 상승하고 거래량도 상승한다면 3 파의 연장 으로 보는 것이 맞다 . 하지만 주가는 상승하지만 거래량이 감소한다면 불규칙 조정 으로 해석해야 한다

 

 

 

주가와 거래량에 따른 신호

1. 거래량이 증가하지만 주가가 하락한다면 이익실현국면으로 조만간 하락추세가 나타난다

2. 상승추세가 지속중이고 거래량이 급등한다면 파동이 막바지에 이르렀다는 신호다

3. 주가가 급등이후, 주가는 상승하지만 거래량이 감소하면 강력한 반전 신호다

4. 주가가 재차 상승하는데도 거래량이 뒷받침되지 않는다면 하락추세는 지속된다

5. 하루의 거래량이 급등한다면 파동의 진행이 클라이맥스에 다가섰다는 경고 신호다

6. 5번 이후에 사흘 안에 거래량이 증가하지 않는다면 해당 파동의 고점이 확인된 것으로 생각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