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짜 | 매출액 | YOY | 영업이익 | 당기순이익 | PER | ROE | 영업이익률 | 순이익률 | 영업이익 성장률 | 순이익 성장률 |
(억원) | (%) | (억원) | (억원) | (배) | (%) | (%) | (%) | (%) | (%) | |
2016.12(A) | 936,490 | 1.8 | 51,935 | 54,064 | 7.71 | 8.37 | 6 | 6 | ||
2017.12(A) | 963,761 | 2.9 | 45,747 | 40,328 | 11.04 | 5.92 | 5 | 4 | -12 | -25 |
2018.12(A) | 968,126 | 0.5 | 24,222 | 15,081 | 22.14 | 2.20 | 3 | 2 | -47 | -63 |
2019.12(A) | 1,057,464 | 9.2 | 36,055 | 29,801 | 11.20 | 4.32 | 3 | 3 | 49 | 98 |
2020.12(E) | 1,041,239 | -1.5 | 28,573 | 17,952 | 40.11 | 2.55 | 3 | 2 | -21 | -40 |
2021.12(E) | 1,152,834 | 10.7 | 66,239 | 53,345 | 13.5 | 7.31 | 6 | 5 | 132 | 197 |
2022.12(E) | 1,215,126 | 5.4 | 76,901 | 62,938 | 11.44 | 8.09 | 6 | 5 | 16 | 18 |
위의 표는 현대차의 사업보고서를 기준으로 재무제표를 정리해 본 것이다.
2016년부터 2019년까지는 전자공시시스템에 공시된 자료를 기반으로 한 것이고 2020년부터는 2022년까지는 예상 컨센서스를 기반으로 한 자료이다.
현대차는 2020년에는 매출, 영업이익, 당기순이익이 줄어들 것으로 전망되지만 회사의 문제라기보다는 환경적인 요인이 크게 작용했기 때문에 제외하고 생각한다면 2016년부터 2022년까지 매출액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회사라고 볼 수 있다.
물론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은 줄어든 해도 있었지만 매출이 꾸준히 상승해 왔다는 것은 현대차의 전망이 그리 나쁘지 않다는 것을 반증하기도 한다.
물론 당시에 투자를 하기에는 고려해야 할 부분이긴 하지만 지속적으로 관심을 가지고 지켜보기에는 충분한 기업이라고 판단한다.
왜냐하면 매출액이 증가한다는 것은 시장에서의 판매량 및 회사의 위치가 인정받기 때문에 증가했다고 생각한다.
다만 영업이익이 저조한 이유를 살펴보자면 고가의 프리미엄 자동차가 주력 판매상품이 아니다 보니 이익은 낮았을 가능성이 있다. 그렇다면 현대차만의 프리미엄 자동차를 만들어 판매한다면 이익적인 측면이 개선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해볼 수 있다.
최근을 보면 매출액이 기하급수적으로 상승하지는 않았지만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이 기하급수적으로 상승한 컨센서스를 볼 수 있다.
이것은 현대차만의 프리미엄 자동차인 '제네시스'의 판매량 증가가 크게 영향을 주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현대차의 단점이라면 단점이던 부분의 개선이 확인되었으니 앞으로의 전망은 이전보다도 훨씬 좋아졌다고 본다.
현대차와 같은 큰 기업이 2020년 대비 2021년 매출액은 10%정도 상승했지만 영업이익은 132%, 당기순이익은 197% 의 증가가 기대된다고 분석했다.
영업이익률이 높은 편은 아니지만 앞으로는 성장할 가능성이 더 커졌다고 볼 수 있다.
또한 12개월 FWD PER가 높은 편은 아니기 때문에 많은 투자자들에게 매력적인 기업으로 판단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한국주식 대형주' 카테고리의 다른 글
NAVER 재무제표 (연도별) (0) | 2021.02.16 |
---|---|
카카오 재무제표 (연도별) (0) | 2021.02.15 |
LG전자 재무제표 (연도별) (0) | 2021.02.14 |
SK하이닉스 재무제표 (연도별) (0) | 2021.01.28 |
삼성전자 재무제표 (연도별) (0) | 2021.01.27 |